작성자 : 서울캠퍼스 당현아 실습코치

<aside> 📢 아마 첫 프로젝트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이 배포였지 않았을까 싶습니다. 개념도 제대로 이해를 못하겠고,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많은 도움을 요청했었죠. 정말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, 코치님들께서 전달하기 편하게 해보겠습니다.

</aside>

서론

배포란?

흔히, 다양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배포는 “사용자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”입니다.

물론 이 정도의 개념으로도 충분히 배포라는 단어로 소통할 수 있지만, 각 단계 별의 명칭부터 명확하게 정리하고자 합니다.

즉, 실제 서비스 단계에서 확인하는 단계로 가기 전까지 계속 개발하고 컴파일하며 확인하다가 빌드래서 배포를 통해 실제 URI 등에서 서비스를 확인하게 됩니다.

실제로 이 빌드에서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해서 도와주는 것이 jenkinsdocker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죠.

직접 경험한 배포 단계

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다음과 같은 배포 단계를 순서대로 겪어보았습니다.

  1. 수동 배포 : Spring STS에서 jar, Vue.js에서 build를 직접 만들어 진행함
  2. jenkins 자동 배포 : dev branch 기준으로 AWS 서버에 jenkins를 활용함

사실 2번까지만 진행한다 해도, 서버를 처음 보는 사람이라면 엄청나다고 생각합니다.

각 내용에 대해 서버 세팅 및 배포까지를 서술해보겠습니다.